달력

7

« 2025/7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1. 12. 7. 22:33

[퍼옴] 육십갑자란 무엇인가? 기타등등2011. 12. 7. 22:33


육십갑자란 무엇인가 ?

육십갑자는 고대의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주기
이름이다. 1주일의 주기가 7일 이듯 육십갑자의 주기는 60년이다.
일주일의 하루 하루에 월(月), 화(火), 수(水) 등 각기 다른 명칭이 있듯 육십갑
자의 한 해도 각기 다른 간지(干支)이름을 가지고 있다.
옛날 우리 조상은 사건이나 행사가 일어난 해(年)를 나타낼 때 이 간지(干支)
이름을 사용하여 나타냈던 것이다.

예컨데 우리가 '기미(己未)三一운동', 임진왜란(壬辰倭亂)' 또는 '병자호란(丙子
胡亂)'을 말할 때, 기미(己未), 임진(壬辰), 병자(丙子)는 모두 육십갑자표(六十甲
子表)에 들어 있는 간지(干支)이름을 딴 것이다. '기미(己未)三一운동'은 기미(己
未)년 (서기 1919년)에 일어났던 三一운동을 뜻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은
임진(壬辰)년 (선조(宣祖)25년, 즉 서기 1592년에 일어났던 일본군과의 싸움을 뜻
한다. 그리고 병자호란(丙子胡亂)은 병자(丙子)년 인조(仁祖)14년, 즉 서기 1636
년에 일어났던 청군(靑軍)과의 싸움을 뜻한다.

이와 같이 우리 조상들은 간지(干支)를 사용하여 사건발생 시기를 나타냈기 때
문에 우리가 조상들의 문헌(文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사용한 육십갑자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 육십(六十) 갑자(甲子)의 구성을 알아
보기 위해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를 아래에 소개한다.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

육십갑자

육십갑자

육십갑자

갑자 (甲子)

갑술 (甲戌)

갑신 (甲申)

을축 (乙丑)

을해 (乙亥)

을유 (乙酉)

병인 (丙寅)

병자 (丙子)

병술 (丙戌)

정묘 (丁卯)

정축 (丁丑)

정해 (丁亥)

무진 (戊辰)

무인 (戊寅)

무자 (戊子)

기사 (己巳)

기묘 (己卯)

기축 (己丑)

경오 (庚午)

경진 (庚辰)

경인 (庚寅)

신미 (辛未)

신사 (辛巳)

신묘 (辛卯)

임신 (壬申)

임오 (壬午)

임진 (壬辰)

계유 (癸酉)

계미 (癸未)

계사 (癸巳)


육십갑자

육십갑자

육십갑자

갑오 (甲午)

갑진 (甲辰)

갑인 (甲寅)

을미 (乙未)

을사 (乙巳)

을묘 (乙卯)

병신 (丙申)

병오 (丙午)

병진 (丙辰)

정유 (丁酉)

정미 (丁未)

정사 (丁巳)

무술 (戊戌)

무신 (戊申)

무오 (戊午)

기해 (己亥)

기유 (己酉)

기미 (己未)

경자 (庚子)

경술 (庚戌)

경신 (庚申)

신축 (辛丑)

신해 (辛亥)

신유 (辛酉)

임인 (壬寅)

임자 (壬子)

임술 (壬戌)

계묘 (癸卯)

계축 (癸丑)

계해 (癸亥)

위의 표(表)를 보면 육십갑자((六十甲子)는 60년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해(간지)는
두 자(字)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각 줄의 윗 글자 10자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를
십간(十干)이라고 부르는데, 이 십간(十干)은 육십갑자안에 여섯 번 들어 있다.
그러니까 십간(十干)이 10년 마다 한번 씩 돌아온다는 이야기가 된다. 참고로 한자(漢字)
22자를 가지고 60개의 간지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다음에 육십(六十)갑자
(甲子) 구성도표를 싣는다.

< 육십갑자(六十甲子) 계산법 >
찾고자 하는 연도의 마지막 수(고유 번호) 에 해당하는 천간을 찾아라.
---4년 : 갑(甲)
---5년 : 을(乙)
---6년 : 병(丙)
---7년 : 정(丁)
---8년 : 무(戊)
---9년 : 기(己)
---0년 : 경(庚)
---1년 : 신(辛)
---2년 : 임(壬)
---3년 : 계(癸)

(2) 올해의 천간(2004년은 갑신년甲申年) 을 기준년도로 삼아 ①올해에서 찾고자 하는 연도를 빼서 나온 수에서 ②12로 나누어 나머지 수를 구하라. ③ 찾고자 하는 연도가 과거이면 앞으로, 미래이면 뒤로 가면서 십이지를 찾으면 계산은 끝이다.

십이지

자<子>-쥐 축<丑>-소 인<寅>-호랑이 묘<卯>-토끼 진<辰>-용
사<巳>-뱀 오<午>-말 미<未>-양 신<申>-원숭이 유<酉>-닭
술<戌>-개 해<亥>-돼지

예 1) 1919년의 육십갑자(六十甲子)계산법(과거)

:
Posted by 쿤타타